목에 혹이 만져지는 상황은 일상에서 다양하게 마주치게 되는데요. 어느 날 우연히 거울을 보다가 발견하기도 하고, 주변 지인에게 목이 부어 보인다는 이야기를 듣고 알기도 해요. SNS가 발달하여, 본인의 목이 찍힌 사진을 통해 예전에는 보이지 않던 목에 혹, 멍울을 느끼는 경우도 있답니다.
목에 혹이 잘 만져지는 이유
1. 두경부의 밀집된 장기들
- 갑상선(갑상샘)
- 침샘(타액선)
- 임파선(림프절)
- 혈관
- 신경
- 근육
- 연부조직
목의 피부는 얇고, 장기들은 대개 피부와 가깝게 위치해 있어 이상이 생기면 만져지기 쉬워요. 체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목에 이상이 생기면 부음(부기), 혹, 멍울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답니다.
2. 임파선의 위치
임파선은 우리 몸에 수백 개가 분포해 있는데, 이 중 3분의 1가량이 목에 위치해요. 이로써 정상적으로도 턱밑, 목 옆, 쇄골 상부, 귀 주변, 목 뒤쪽 등에서 임파선이 잘 만져진답니다.
목 앞 멍울의 주요 원인: 갑상선 결절
1. 갑상선 질환
-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에서 발생률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은 갑상선암이에요.
- 한국에서 유병률이 높은 갑상선 질환도 만져지는 목 멍울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답니다.
- 초음파 장비의 발달 덕분에 만져지지 않는 작은 갑상선 결절, 갑상선암을 진단받는 일이 매우 흔해졌어요.
- 그러나 실제로 병원에서 진료하다 보면, 목 앞쪽에 갑자기 만져지는 혹 증상으로 내원하여 갑상선 결절로 진단받는 사례가 적지 않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미만성 갑상선질환?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하는 갑상선 기관에 문제가 생긴다면 신체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치료하는지를 하이하이 건강저장소에서 모두 알려드립니다.
- 한양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박정환 교수
Q. 건강검진에서 미만성 갑상선 질환 의심으로 나왔어요. 미만성은 뭔가요? 검사받아야 하나요?
Q.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각각 어떤 질환인가요?
Q.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갑상선기능항진증은 나타나는 증상에 차이점이 있나요?
Q. 갑상선 질환 환자는 평생 약을 먹어야 하나요?
Q. 갑상선 질환이 있으면 불임이다 임신하면 안 된다고 알고 계신 분들이 있는데 사실인가요?
Q. 갑상선 질환 환자들이 주의해야 할 음식이 있나요? 혹은 도움이 되는 음식은?
👉EBS 갑상선 명의 박정환 교수 질환 합병증 원인과 치료 방법
2. 갑상선의 위치
- 목젖이라고 부르지만, 정확하게는 후두융기(Adam’s apple)의 아래와 양쪽 쇄골이 만나는 목 중앙 흉골 사이에 갑상선이 위치해요.
- 이 위치에 혹이 만져지면 오른쪽, 왼쪽 목에 치우쳐서 멍울이 있더라도 갑상선 결절 가능성을 우선으로 염두에 두고 진료받는 것이 필요하답니다.
갑자기 만져지는 갑상선 혹: 물혹 가능성
1. 갑상선 물혹의 특징
- 통증과 함께 목 앞에 위치한 혹을 갑자기 발견한 경우라면 갑상선에 원래 있던 작은 물혹(낭종)의 내용물이 출혈과 같은 이유로 통증을 동반하면서 급격히 커진 상태일 수 있어요.
- 아급성 갑상선염과 같은 염증 질환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답니다.
2. 방심은 금물
- 서서히 오랜 기간에 걸쳐서 커진 갑상선암, 종양도 어느 날 우연히 발견될 수 있어요.
- 모호한 통증과 같은 불편감을 동반하기도 한답니다.
- 따라서 갑상선을 비롯한 주변 임파선, 경부 상태를 확인하는 갑상선, 경부 초음파 검사와 경험이 충분한 전문의의 진찰을 통해 정확하게 진단받는 것이 중요해요.
FAQ
목에 혹이 만져지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목에 혹이 만져지면 우선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해요. 두경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할 수 있어요.
갑상선 결절이 모두 위험한가요?
갑상선 결절은 대부분 양성이지만, 일부는 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요. 정기적인 검진과 추적 관찰이 필요해요.
물혹과 갑상선암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초음파 검사를 통해 물혹과 갑상선암을 구분할 수 있어요. 전문의의 진단이 필요하답니다.
목에 혹이 만져질 때 통증이 있으면 더 위험한가요?
통증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더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통증이 있다면 염증이나 출혈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답니다.
목에 혹이 만져진다면, 진찰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요. 목 앞쪽에 만져지는 혹은 갑상선 결절일 가능성이 높지만,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항상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