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소중한 기념일이나 중요한 날짜를 잊어버리면 어쩌죠? 중요한 날을 쉽게 관리하고 싶은 분이라면, 아래의 내용을 잘 읽어보세요. 엑셀로 간편하게 디데이 계산기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남은 날을 쉽게 관리할 수 있으니, 필요하면 꼭 따라 해보세요!
오늘 날짜를 자동으로 표시하기
현재 날짜를 알고 싶을 때 복잡하게 입력할 필요 없죠? 간단한 엑셀 함수를 이용해 자동으로 날짜를 표시하는 방법을 배워볼게요.
- 오늘 날짜 입력
B1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하세요:=TODAY()
- 이 수식을 사용하면, 엑셀은 자동으로 오늘 날짜를 인식해줍니다.
2. 사용자 지정 서식
- ‘사용자 지정’ 메뉴에서 서식을 설정해보세요.
현재: yyyy-mm-dd
형식으로 만들면, 날짜 앞에 ‘현재:’라는 문구가 붙어 사용자에게 더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이렇게 하면 엑셀을 여는 매일, 자동으로 오늘 날짜가 표시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죠.
기념일 입력하기
이제는 기념일을 입력해 볼까요? 월과 일만 입력하면 되니 너무 간단해요.
1. 기념일 날짜 입력
- 예를 들어, 생일인 11월 14일은
C2
셀에11-14
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2. 사용자 지정 서식
- 다음과 같은 서식을 입력해 보세요:
mm”월" dd”일”
이렇게 설정하면 연도 없이 월과 일만 표시됩니다.
이제 다른 기념일도 같은 형식으로 입력하면 돼요. 불필요한 연도를 빼고 사용하니 훨씬 깔끔하죠?
디데이 계산하기
이제 가장 중요한 디데이 계산 방법을 알아볼까요? 날짜를 통해 남은 날을 쉽게 계산해 줄 수 있어요.
1. 디데이 계산 함수 넣기
D1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하세요:=C2-$B$1
- 이 수식은 기념일과 오늘의 날짜를 계산해 줘요.
$
를 붙이는 이유는 오늘 날짜 참조를 고정시키기 위해서에요.
이게 참간단하죠? 매번 기념일 입력만 해주면, 엑셀에서 자동으로 남은 날 수를 계산해 줄 거예요!
숫자 뒤에 한글 추가하기
마지막으로 숫자 뒤에 ‘일’이라는 한글을 자동으로 붙여보는 거예요. 그래야 정보가 더 풍부해지니까요!
1. 숫자 뒤에 한글 넣기
- 원하는 범위를 선택한 뒤 ‘사용자 지정’에서
0”일"
이라고 입력해주세요. - 이렇게 적용하면 디데이 값 뒤에 ‘일’이 자동으로 붙어요.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202일’이라고 나와 훨씬 이해하기 쉽게 표시되죠? 정말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기능이죠!
자주 묻는 질문 (FAQ)
1. 디데이 계산기 엑셀 파일은 어떻게 다운로드하나요?
디데이 계산기 엑셀 파일을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어요. 단 몇 번의 클릭으로 편리하게 사용해보세요!
2. 이 방법으로 계산한 날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나요?
확인하고 싶은 날짜를 직접 계산해보시는 게 좋아요. 계산이 잘못됐다면 수식을 다시 확인해보세요.
3. 모바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네! 엑셀 모바일 앱에서도 잘 작동하니, 외출 중에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4. 사용자 지정 서식이 무엇인가요?
사용자 지정 서식은 엑셀 셀의 내용을 원하는 형태로 바꿔주는 기능이에요. 날짜, 시간, 숫자 등을 더 보기 좋게 표시할 수 있어요.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엑셀 디데이 계산기를 쉽게 만들 수 있답니다. 오늘부터 기억하고 싶은 소중한 날을 잊지 마세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엑셀 디데이 계산는 정말 유용하답니다. 여러분에게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