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연말정산 주요 변경사항



2023년 연말정산에서는 다양한 공제 항목과 세금 감면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변경된 사항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연말정산 간소화 및 미제출 항목 확대

간소화 자료 제공 확대

연말정산에서 증빙 서류 제출이 필요한 항목들이 많아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소화 자료 제공 항목이 확대되어, 월세액, 안경 구입비, 긴급재난지원금 기부 등 여러 항목에 대해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도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월세액 세액공제

무주택 세대주 근로자는 연봉이 7천만원 이하일 경우, 월세의 10%를 세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월세 자료가 전산으로 관리되므로 별도의 제출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 공제 한도: 연 750만원 (최대 75만원 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는 총 급여의 3%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의 15%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안경 구입비를 국세청이 카드사로부터 직접 수집하여 간소화 자료로 제공합니다.

긴급재난지원금 기부

코로나19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을 기부한 경우, 기부금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금의 15%를 세액 공제받으며, 기부금 명세서는 별도로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소득세 감면 대상 확대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 노동자도 소득세 감면 대상에 포함됩니다. 만 15세에서 34세 청년, 60세 이상자, 장애인, 고용중단 여성 등이 해당되며, 3년간 소득세의 70%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중단 여성 요건 완화

고용중단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요건이 완화되었습니다. 결혼 및 자녀교육도 고용중단 사유에 포함되며, 고용중단 기간도 최대 15년까지 연장되었습니다.

비과세 적용 항목 및 한도 확대

출산휴가 급여 비과세 신설

부모님의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해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도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아빠의 육아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생산직 근로자 비과세 적용

생산직 근로자는 야간 근로 수당 등 급여 이외의 금액에 대해 비과세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총 급여액 기준이 완화되어, 월급 210만원 이하의 경우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벤처기업 스톡옵션 비과세 범위 확대

벤처기업의 스톡옵션 비과세 대상이 확대되며, 비과세 한도도 연 2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 비상장 및 코넥스 상장 기업도 포함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신용카드 사용 금액과 각종 공제 항목을 미리 계산해보는 서비스로, 10월 30일부터 제공됩니다.

질문2: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연봉 7천만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근로자는 월세의 10%를 세액 공제받을 수 있으며,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자료 제출이 필요 없습니다.

질문3: 긴급재난지원금 기부에 대한 공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긴급재난지원금의 일부를 기부한 경우, 기부금의 15%를 세액 공제받으며, 기부금 명세서는 국세청에서 직접 수집합니다.

질문4: 소득세 감면 대상은 어떤 분들이 포함되나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 노동자, 청년, 장애인, 고용중단 여성 등이 소득세 감면 대상에 포함됩니다.

질문5: 출산휴가 급여 비과세는 어떤 혜택이 있나요?

부모 모두 출산휴가 급여를 비과세로 인정받을 수 있어, 육아 부담을 덜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전 글: SMAT 자격증: CS 직무를 위한 필수 자격